거대 통합체 분석(메츠)
감독 : 앤드류 스탠튼 연출: 앤드류 스탠튼 각본: 짐 카포비안코
기획 : 피트 닥터 Pete Docter ,존 라세터 John Lasseter
제작 : Jim Morris 음악 : 토마스 뉴먼 Thomas Newman 편집 : Stephen Schaffer
1) 첫째 단락
지구의 상황을 묘사하며 애니메이션의 도입부로, 일반로봇이 아닌 감정이 있는 주인공의 로봇이라는 구별 짓는 작용이 있으며 <헬로 돌리>라는 뮤지컬의 음악은 월E의 감성적 느낌과 외로움을 상징적으로 표현해 주는 구조로 구성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월E가 음악을 듣고, 바퀴벌레를 애완동물로 키우고, 쓰레기더미에서 수집품을 모으고, 춤을 흉내 내고, 집에서는 캐터필러(트랙)를 벗으며, 아침전지를 받기 전까지 잠에 취한 모습은 인간의 모습과 별반 차이가 없다는 것을 느낄 수 있게 만드는 단락으로 꾸며져 있다.
2) 둘째 단락
갑작스런 지구의 방문객으로 인해 사건의 변화가 시작된다.
이 단락에서의 중요성은 이브의 등장과 이브를 사랑하게 되는 월E 와의 관계, 월E로 인해 이브의 임무인 식물을 발견하고 이브를 홀로 떠나 보낼 수 없어 지구를 떠나는 상황으로 넷째 단란의 후반 이브가 월E의 극진한 사랑도 느낄 수 있게 해 주는 추억의 기표에 대한 인과 관계와 같이 짜여 있다.
3) 셋째 단락
월E가 지구에서의 생활에서 우주선으로 이동. 우주선 인간에 대한 모습, 이브의 식물 채취에 대한 임무, 이브에 대한 묘사를 중심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식물을 전달하려 하지만, 식물이 사라지면서 문제가 생기기 시작하는 부분이다. 액시엄호의 비밀이 숨겨있다는 점과 선장이 갇히고 월E와 이브가 쓰레기 처리장으로 떨어지면서 최악의 상황으로 구성되어 진다.
4) 넷째 단락
애니메이션의 핵심이 되는 단락. 사라진 식물을 찾게 되고 비밀이 밝혀지면서 선장은 지구에 대한 호기심 으로 인간의 자아의식을 가지게 되었으며, 오토와의 결투를 많은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제압하는 구조는 선악의 대립구조를 형성 하고 있다.
이 단락의 핵심을 더 돋보이게 만드는 것은 반대세력에 대항하여 이브, 월E등 다양한 로봇과 많은 사람들이 힘을 모아 선장이 지구로 귀환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 그리고 고장난 월E를 고치기 위해 필사적으로 지구로 가려는 이브의 모습은 관객에게 많은 감동과 긴장감을 늦추지 않게 해주는 부분이다.
2) 둘째 단락
갑작스런 지구의 방문객으로 인해 사건의 변화가 시작된다.
이 단락에서의 중요성은 이브의 등장과 이브를 사랑하게 되는 월E 와의 관계, 월E로 인해 이브의 임무인 식물을 발견하고 이브를 홀로 떠나 보낼 수 없어 지구를 떠나는 상황으로 넷째 단란의 후반 이브가 월E의 극진한 사랑도 느낄 수 있게 해 주는 추억의 기표에 대한 인과 관계와 같이 짜여 있다.
3) 셋째 단락
월E가 지구에서의 생활에서 우주선으로 이동. 우주선 인간에 대한 모습, 이브의 식물 채취에 대한 임무, 이브에 대한 묘사를 중심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식물을 전달하려 하지만, 식물이 사라지면서 문제가 생기기 시작하는 부분이다. 액시엄호의 비밀이 숨겨있다는 점과 선장이 갇히고 월E와 이브가 쓰레기 처리장으로 떨어지면서 최악의 상황으로 구성되어 진다.
4) 넷째 단락
애니메이션의 핵심이 되는 단락. 사라진 식물을 찾게 되고 비밀이 밝혀지면서 선장은 지구에 대한 호기심 으로 인간의 자아의식을 가지게 되었으며, 오토와의 결투를 많은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제압하는 구조는 선악의 대립구조를 형성 하고 있다.
이 단락의 핵심을 더 돋보이게 만드는 것은 반대세력에 대항하여 이브, 월E등 다양한 로봇과 많은 사람들이 힘을 모아 선장이 지구로 귀환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 그리고 고장난 월E를 고치기 위해 필사적으로 지구로 가려는 이브의 모습은 관객에게 많은 감동과 긴장감을 늦추지 않게 해주는 부분이다.
5) 다섯째 단락
종결부인 단락으로 우주에서 지구로 착륙하여 돌아오는 모습과 부서진 월E를 급히 고치는 모습은 모두들에게 마지막 단락으로서의 급박함을 느끼게 해준다. 수리가 끝난 월E는 진정한 청소부 로봇의 모습이지만 이브의 마지막 잘별 입맞춤으로 자아가 돌아오며 살아나는 모습에서 마지막 큰 감동과 함께 결말을 맺는다. 마지막 카메라의 계속된 움직임은 황폐해진 지구의 모습이 아니라 푸르른 지구로 돌어가는 모습속에 희망을 보여줌으로서 결말을 맺어 준다.
표1-1 등장인물의 대립구조
월 E
|
영화 속 주인공으로 황폐해진 지구를 홀로 청소하는 임무를 가진 채 700년간 청소를 한다.
로봇이지만 다채로운 관심 있는 물건을 모으고 감정을 지니고 있다.
눈을 카메라로 표현한 아날로그적인 로봇으로 남성을 상징한다.
|
긍정적 묘사 : 지구를 청소하는 로봇으로 청소를 열심히 하는 모습,
인간과 흡사한 느낌은 많은 감정을 이입시킨다.
| |
바퀴벌레
|
지구에 남은 유일한 생명체로서 등장한다. 월E의 동반자이자 애완용.
바퀴벌레는 이브가 지구로 왔을 때 아담과 만남의 연결고리로서 역할과 월E가 우주선을 타고 떠나갈 때 홀로 지구에 남겨진 모습은 여운을 남길 수 있는 의미가 있다.
|
이 브
|
지구의 생명체를 탐사하는 임무를 가진 최첨단 로봇이다.
최첨단 레이저 무기와 눈을 디지털로 표현한 이브는 여자를 상징한다.
상당부분 주인공 월E와는 대조적인 외형을 가지고 있어 어울리지 않는다는 생각을 갖게 만든다.
|
부정적 묘사 : 부정적이라는 말로 표현하기는 힘든 부분이 있지만,
이야기 초반부의 묘사는 냉정함, 차가움으로 묘사되고 있다.
긍정적 묘사 : 후반 월E를 위험에서 구출하며 보살피려는 모습과 월E를 살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모습에서 우정과 사랑을 가진 로봇으로 변화
| |
선 장
|
매일 똑같이 반복되는 지루한 삶에 갇혀 사는 그는 일상 탈출을 꿈꾼다. 그가 하는 일이라곤 자동 항법 로봇인 ‘오토’와 함께 우주선의 상태를 확인. 탐사 로봇 이브로부터 보고를 받는 순간부터 인간의 자아라는 개념을 가진 용감한 리더로서 활약을 한다.
|
부정적 묘사 : 그저 이름만 사령관일 뿐, 우주선안의 다른 인간들과 다를 바 없다.
로봇들로 인해 편안한 생활을 영위할 뿐 인간으로서의 자아의식은 볼 수 없다
긍정적 묘사 : 이브의 식물발견으로 인한 지구에 대한 호기심으로 자아의식이 돌아옴으로써
지구의 귀환에 책임을 지는 역할을 다루고 있다.
| |
오 토
|
엑시엄 호의 자동 항법 로봇으로 700년간 우주를 떠돌며 엑시엄호를 조종해왔다. 오토에겐 인간이 모르는 지령이 프로그래밍 되어 있었다. 700년 전의 지구의 모습은 너무 황폐해 절대 돌아오면 안된다는 지령 A113 오랜 시간 고정돼 있던 지령이다.
|
부정적 묘사 : 지령을 수정할 수 없는 차가운 로봇으로 선장을 감금한 모습은
선과 악의 구도로 보이기 위한 부정적인 면을 보여주고 있다.
|
표1-2 등장인물의 대립구조
2. 애니메이션 전체의 서사 구조적 의미
- 의미
영화의 뚜렷한 선악구조는 벗어나 있지만 인간 VS 로봇, 지구의환경보호 VS 지구의환경개발, 인간의 편리함 추구 VS 인간의 자아의식의 개념으로 영화에서는 여러 의미를 주고 있다. 과학은 인간의 이성에 기초해서 세계를 파악하고 진실을 신뢰할 수 있게 되어야 한다.
그런 세계관을 중심으로 인간의 편리함을 위해 과학은 끊임없이 발전하는 과정중인 것이다. 그 과학의 발달의 끝은 어디인가?
영화에서 인간들은 즐거움만을 쫒아 움직임도 거의 없어 뚱뚱한 인간으로 욕심에 차있는 모습속에 모습으로 보여주고 있다.
인간의 편리함을 위해 만들어진 기술은 곧 인간을 자아의식이 결여되어 가는 것은 경고성 있는 메시지로 들린다. 지구를 로봇만 남고 우주로 떠나 지구를 로봇이 지배하는 세상이 되길 바라는 것은 아닐 것이다. 또한 지구 미래는 많은 쓰레기로 인해 인간과 식물이 살 수 없는 곳으로 변해버린다. 쓰레기의 환경문제는 많은 문제를 낳고 있다.
분리수거와 재활용등 사회적인 변화가 있지만 영화에서의 쓰레기는 필요할 때를 위해 만들어질 뿐 필요 없을 때의 생각은 할 수 없다는 다소 믿기 힘든 설정이지만 현재 환경 문제가 지구 온난화와 함께 심각한 상태이기에 생각해 바야만 하는 이야기라 생각한다.
지구의 황폐해짐은 돌풍과 함께 자연환경이 무섭게 변하고 많은 우주쓰레기의 설정은 다소 설득력 있는 영화의 전반부 배경이다. 과학의 발전으로 우주선을 이용해 지구를 떠난다는 현실의 도피성을 강조한 다소 과학의 세계관에 모순을 가지고 있지만 환경개발에 대한 과학의 발전은 여러가지 문제점을 갖게 해준다.
- 서사구조
- 간략한 줄거리
미래의 지구. 홀로 남아 청소를 하고 있는 한 로봇. 인간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고, 도시를 가득 메운 쓰레기만이 상황을 말해준다. 지구에 생존할 수 없을 만큼 쓰레기가 많아지자 인간들은 거대한 우주선을 타고 우주로 나간다. 원래의 계획은 인간이 우주에서 생활하는 동안 청소로봇들이 지구를 깨끗이 청소를 하고, 5년 뒤 다시 돌아오려고 했다. 하지만 홀로 남게 된 월-E와 그의 친구 바퀴벌레만이 지구를 지키고 있다. 무려 700년간 지구를 청소하는 월-E. 그러던 어느 날 우주선이 도착하고 지구의 환경을 탐사하는 임무를 부여받은 이브가 내린다. 이브를 반가워하며 친구가 된 월E는 그가 발견한 식물을 이브에게 보여준다. 그 순간 이브는 식물을 자신의 품에 넣고 탐사선에 신호를 보낸다. 그 식물은 바로 지구의 미래를 결정할 열쇠였고, 지구로 돌아갈 날을 기다리며 우주에서 생활하는 인간들에게 이를 알린다. 이브를 데려갈 우주선이 도착했을 때, 월E는 이브와 헤어질 수 없어 그 우주선에 매달려 인간들이 생활하는 우주선 AXIOM호에 도착한다. 우주선의 선장은 지구로의 귀환을 생각하지만 오토파일럿(우주선을 관리하는 기계)은 식물을 빼앗아 지구로의 귀환을 저지하려 한다. 원래의 지구재건계획을 취소한다는 극비의 임무 때문이지만, 선장은 식물이 살수 있다면 인간도 살 수 있고, 고향으로 되돌아가야 한다는 의지를 꺾지 않는다. 지구 귀환을 막는 오토파일럿과 기계들을 상대로 선장과 월E, 이브는 한바탕 소통 끝에 결국 식물을 찾아 지구로 귀환하게 된다.
1) 첫째단락
2) 둘째 단락
지구의 황폐해짐은 돌풍과 함께 자연환경이 무섭게 변하고 많은 우주쓰레기의 설정은 다소 설득력 있는 영화의 전반부 배경이다. 과학의 발전으로 우주선을 이용해 지구를 떠난다는 현실의 도피성을 강조한 다소 과학의 세계관에 모순을 가지고 있지만 환경개발에 대한 과학의 발전은 여러가지 문제점을 갖게 해준다.
월 E
|
→
|
이브만남
|
→
|
우주선의생활
|
→
|
부서짐
|
→
|
지구귀환
|
바퀴벌레
|
→
|
월E와의 생활
|
→
|
홀로남음
|
→
|
귀환을 맞아주는 지구생물
|
→
|
월E와 이브의
연결요소
|
이 브
|
→
|
월E발견
|
→
|
식물발견
|
→
|
선장을 도움
|
→
|
지구귀환
|
선 장
|
→
|
식물발견
|
→
|
지구에 대한
호기심
|
→
|
지구귀환
|
→
|
식물심음
|
오 토
|
→
|
식물을 숨김
|
→
|
선장을 감금
|
→
|
지령을 밝힘
|
→
|
선장으로 인해
잠김
|
1분절: 의미를 지닌 단위들인 의미소
2분절: 의미소와 의미소안의 더욱 작은 도상적 기호
3분절: 앵글, 질감, 빛 그림자 효과 등의 형태
애니메이션 (WALL-E)의 언어적 서사구조와 영상이미지의 맥락적 의미 분석
내러티브적 요소
|
지구의 상황 묘사 그리고 일반 로봇과는 다른 감정이 있는 주인공 월E 로봇의 소개
|
이미지적 요소
|
지구의 환경을 롱샷으로 충분히 설명하고 있으며 월E의 클로즈업 씬으로 자세하게 행위에 대한 이해와 감정 이입을 시키고 있다. 색이 많지 않으며 비슷한 색으로 이루어져 단조로움과 비극적 암시를 더해주고 있다.
|
내러티브적 요소
|
이 단락에서의 중요성은 이브의 등장. 월E의 외로움의 해소, 이브에 대한 극진한 사랑
|
이미지적 요소
|
첫 단락보다는 월E와 이브의 만남으로 색채가 밝아짐을 느낄 수 있다. 월E의 동작도 다채로워지며 사람의 움직임과 흡사함(떨림,놀람,웃음,화남,슬픔등)을 알 수 있다. 식물의 발견과 이브의 멈춤 현상으로 인해 월E의 극직한 사랑표현은 긴 시간을 응축형식으로 표현해 주고 있다.
|
3) 셋째 단락
4) 넷째 단락
5) 다섯째 단락
의미구조는 로봇의 사랑이라는 내러티브 구조를 지니고 있지만, 사랑이라는 감성구조를 토대로 관객의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는 서사구조를 지닌 애니메이션이라 할 수 있다. 지구의 환경문제에 대한 심각성은 영화에 잘 표현되어 있으며 그 속에 생활을 하는 월e의 외로움과 설정환경의 문제를 시작부분 초반에 잘 잡아주고 있으며 선장과 로봇의 대립구조는 환경의 부분과 결합하여 보다 큰 감동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내러티브적 요소
|
처음 만난 친구를 쫒아 우주선에 오르며 지구를 떠남. 이브는 임무를 완수 하기위해 우주선으로 귀항하지만 선장에게 식물을 전달하지 못하고 아무도 모르게 식물이 사라짐. 식물을 찾지 못해 월E와 이브는 서로를 오해하고 위기가 시작하는 단락
|
이미지적 요소
|
지구의 모습과는 대조적으로 백색이 많으며 깨끗한 미래를 느끼게 해준다. 우주선 안의 뚱뚱한 인간은 기계 없이는 살아 갈수 없다는 것을 극단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인간의 움직임은 거의 없고 표정에 대한 변화도 찾아보기 힘들다. 일률적인 빨간색 옷은 개성보단 오로지 편안함을 강조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4) 넷째 단락
내러티브적 요소
|
핵심이 되는 단락, 위기가 해소되고 식물을 찾으며 선장의 결심으로 인해 지구로 귀항하게 된다.
그러나 월E 주인공의 부서진 모습은 절정부분으로 해소되는 위기에서 벗어나 더욱 결말을 궁금하게 만든다.
|
이미지적 요소
|
이브와 월E, 친구의 로봇들이 단합된 모습을 보여주며 장면의 전환이 빠르고 붉은색이 자주 나오며 극박한 상황으로 치닫게 해주는 단락이다.
|
5) 다섯째 단락
내러티브적 요소
|
지구도착. 이브의 도움으로 월E가 수리되며 극이 끝이 난다.
|
이미지적 요소
|
이브의 행동은 매우 빨라지며 다급함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다 고친 월E는 잠시 자아가 없는 월E였으며 걱정하는 이브의 모습을 클로즈업으로 감정이입을 하게 만들고 있으며, 마지막 잘별 입맞춤으로 생명을 넣어주는 모습에서 마지막 큰 감동과 함께 결말을 맺는다. 마지막 카메라의 계속된 움직임은 황폐해진 지구의 모습이 아니라 푸르른 지구로 되어가는 모습을 보여줌으로 희망찬 결말을 맺어 준다.
|
나오며
애니메이션 월E 의 텍스트 분석결과 ‘사랑’과 ‘환경’이 주된 소재이다.의미구조는 로봇의 사랑이라는 내러티브 구조를 지니고 있지만, 사랑이라는 감성구조를 토대로 관객의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는 서사구조를 지닌 애니메이션이라 할 수 있다. 지구의 환경문제에 대한 심각성은 영화에 잘 표현되어 있으며 그 속에 생활을 하는 월e의 외로움과 설정환경의 문제를 시작부분 초반에 잘 잡아주고 있으며 선장과 로봇의 대립구조는 환경의 부분과 결합하여 보다 큰 감동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