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별의 위치에 삼각대 고정
- 촬영모드 M 모드
- 셔터스피드 30초~2분사이 조리개 f5.6 초점 무한대
- ISO 100 에서 200
- 릴리즈 셔터 연결 확인
- 테스트 촬영후 노출확인한다
- 확인후 최종 촬영
별 궤적 사진 촬영 가이드
1. 촬영 환경 설정
- 별이 잘 보이려면 맑고 구름 없는 날씨가 필요하며, 주변에 빛 공해가 없는 장소를 선택해야 한다.
2. 구도 잡기
- 북극성을 중심으로 촬영하면, 북극성에서 멀어질수록 별이 길게 이동하는 궤적을 표현할 수 있다.
- 원하는 구도를 잡기 위해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별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렌즈 선택
- 광각 렌즈를 사용하면 넓은 하늘과 배경을 함께 담아 아름다운 별 궤적을 촬영할 수 있다.
4. 카메라 설정
✅ 셔터 스피드
- 인터벌 촬영: 30초~2분
- 연속 촬영: 30초
✅ 조리개(F값)
- F4.5~5.6 사이에서 조절하며, 테스트 촬영을 통해 적절한 값을 찾는다.
✅ ISO 감도
- 기본적으로 100~200으로 설정하여 노이즈를 줄인다.
- 카메라의 노이즈 억제 성능이 좋다면 ISO 400까지 올려도 무방하다.
✅ 초점
- 매뉴얼 포커스로 설정 후 무한대(∞) 에 맞춘다.
✅ 파일 형식
- JPG 촬영을 권장하며, 노이즈 억제 기능을 끄면 더 많은 사진을 연속 촬영할 수 있다.
✅ 테스트 촬영 필수
- 노출과 별의 선명도를 확인한 후, 만족할 때까지 설정 값을 조정한다.
5. 촬영 방식
📌 연속 촬영(권장)
- DSLR 카메라에서 벌브 모드로 30분 이상 촬영하면 CCD에 무리가 갈 수 있으므로 연속 촬영을 추천한다.
- 연속 촬영에는 인터벌 촬영 모드와 연속 촬영 모드 두 가지 방법이 있다.
📌 인터벌 촬영
- 카메라나 셔터 릴리즈가 인터벌 촬영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가능하다.
- 촬영 한 장당 30초~2분 이내로 설정하고,
- 사진과 사진 사이의 간격을 1~2초 정도로 설정하여 별 궤적이 끊기지 않도록 한다.
- 노출 시간은 30분~3시간이 적당하다.
- 30초 간격 촬영 시 한 시간 동안 약 120장 촬영 가능(실제 촬영 매수는 인터벌 간격에 따라 다름).
📌 연속 촬영 모드
- 카메라 모드를 연속 촬영 모드로 설정한 후,
- 셔터 릴리즈를 누른 상태에서 락을 고정하면 촬영이 자동으로 진행된다.
- 촬영이 종료될 시간을 직접 설정할 수 없으므로, 촬영 시작 시간을 체크하고 원하는 시간이 지나면 수동으로 락을 해제하여 촬영을 종료해야 한다.

0 댓글
이 글에 대한 생각이나 궁금한 점을 남겨주세요. 여러분의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